위즈군의 라이프로그
Reboot... Search /

[정보] 블로그 수익에는 애드센스 보다 애드클릭스가 좋아!

2007. 6. 27. 12:03

올해 초 "블로그에 광고를 달면 수익이 얼마나 되나?"하는 의문이 생겨 구글애드센스를 달았다.
견물생심이라 했던가, 시작 할 때는 수익에 관심이 없었지만 하루하루 쌓여가는 작은 금액을 보니 은근한 기대와 더 많은 수익을 바라게 되었다.
검색엔진을 통해 들어오는 사용자가 50% 이상이기 때문에 꾸준히 작은 수익이 발생했고, 돈을 받을 날만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애드센스에 로그인 하려고 하니 계정이 비활성화 되었다는 것이다. 메일을 확인 해보니 부정클릭으로 계정이 비활성화 상태로 블록 한다는 통보였다. 다시 활성화 시키려면 관련 증거를 보내라는데, 무슨 증거를 어디서 찾는단 말인가? 마음에 상처만 가지고 포기해버렸다.
결국 돈도 날아가고, 잠시나마 블로깅에 대한 의욕까지 잃어버렸다.

"나는 월급이나 받고 살 팔자구나"하고 열심히 일이나 하겠다는 일념으로 업무에 집중하던 어느 날  "다음 애드클릭스는 어떨까?" 하는 의문에 애드클릭스에 가입을 했다. 다음날 승인 메일이 날아왔다.

마침 새로 만들고 있는 스킨도 있고, 요즘은 광고를 넣을 자리를 마련하는 것이 태터툴즈 스킨의 대세라 테스트 겸 한번 해보기로 하고, 광고설정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설정 등 많은 내용이 구글보다 좀더 합리적이었다.

012

우선 광고의 노출 수준을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기타 세부적인 설정도 애드센스 보다 깔끔하고, 설정하기 쉬운 구성이다.

그 중 가장 마음에 상처를 입게 만들고, 블로그 광고에 대한 부정적 사고를 심어준 부정클릭에 대한 처리에 대한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클릭한 IP를 사용자가 부정클릭 IP로 설정하고,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드센스와 같이 어떠한 경고도 없이 계정을 블록킹 하는 정책은 광고주에게는 좋을지 모르지만 광고를 보여주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너무 억울한 정책을 애드클릭스에서는 어느 정도 풀었다고 생각된다.

단점으로는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등에서 레이아웃이 깔끔하지 못하다는 것 (이따금 IE에서도) 하지만 이 부분은 이미지가 깔끔하게 나오지 않는 경미한 경우이기 때문에 패스한다.

애드클릭스

"뒤로가기" 버튼을 클릭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때 파이어폭스와 사파리에서 폼 값을 다시 전송한다는 경고가 뜬다는 것인데, 이 부분은 앞으로 기술적인 해결을 할 것 같고, 옵션으로 사용자에 의해 충분히 해결 가능한 부분인 것 같아 크게 문제 되지 않을 것 같다.

애드클릭스
애드클릭스

마지막으로 가장 아쉬운 부분은 통계정보를 외부로 공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블로거들이 공개하고 싶어도 통계데이터 외부 공개를 불허하는 부분이다. 사실 영업상의 이유나 그런 복합적인 것 때문에 금지한 부분이라고 생각 된다. 하지만 외부로 공개할 만한 성과도 나오지 않기에 통과 한다.

애드클릭스

구글과 애드센스에서 느낀 실망감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래도 내가 아는 범위 내에서 애드센스보다는 애드클릭스가 블로거가 수익을 내기 좋을 것이다. 애드클릭스는 적어도 한번의 부정클릭으로 인해 모든 수익이 날아가는 일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외국의 업체가 아니라 국내 업체라는 것도 더 기분 좋게 만드는 것 같다.
앞으로 더 좋은 서비스로 발전해 블로거들에게 더 많은 수익을 제공 해줄 것이라 믿으면서, 간단 서비스 소개 끝.

ps. 학교 졸업 후 신경을 안 써서 그런지, 요즘은 철자 맞춤법과 띄어쓰기 너무 힘드네요. 한글공부 좀 더해야겠습니다.

위즈군의 라이프로그

Category

전체 (564)
개발 (0)
일반정보 (0)
IT 일반 (1)
일상&사진 (0)
정리중 (563)

Recent Entry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Tags

        Links

          Total:
          Today: / Yesterday:
          Powered by Tistory / Skin by 위즈 라이센스정책 rss 2.0